728x90
    
    
  2-3. 입력과 출력 (input, print)
프로그래밍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,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은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기능입니다. 파이썬에서는 이를 위해 input() 함수와 print() 함수를 사용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이 두 함수의 기본 사용법과 응용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.
사용자 입력 받기: input()
input() 함수는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받아 문자열 형태로 반환합니다.
name = input("당신의 이름은 무엇인가요? ") 
print("안녕하세요,", name, "님!")
위 코드를 실행하면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렸다가 name 변수에 저장하고, 그 값을 활용하여 출력합니다.
❗ input()으로 받은 값은 항상 문자열(str) 형태입니다. 숫자가 필요한 경우는 형변환을 해주어야 합니다.
숫자 입력 받기
age = input("나이를 입력하세요: ") 
print(age + 1) # 오류 발생
이 코드는 오류가 납니다. input()으로 받은 값은 문자열이기 때문에 + 1 연산이 불가능하죠. 숫자로 변환해야 합니다.
age = int(input("나이를 입력하세요: ")) 
print(age + 1) # 올바르게 작동
화면에 출력하기: print()
print() 함수는 괄호 안에 있는 값을 화면에 출력해주는 함수입니다.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
print("Hello, World!")
여러 값 출력하기
name = "철수" 
age = 20 
print("이름:", name, "나이:", age)
print()는 여러 값을 쉼표로 구분해서 출력할 수 있으며, 각 값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공백이 삽입됩니다.
문자열 포매팅
출력할 문자열 안에 변수 값을 쉽게 넣는 방법이 있습니다.
1. f-string (추천)
name = "영희" 
age = 25 
print(f"{name}님의 나이는 {age}살입니다.")
2. format() 함수
print("{}님의 나이는 {}살입니다.".format(name, age))
출력 옵션 설정
print() 함수는 기본적으로 줄 바꿈을 포함하지만, 이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줄 바꿈 없애기
print("Hello", end=" ") 
print("World") 
# 출력: Hello World
구분자(sep) 바꾸기
print("2025", "05", "14", sep="-") 
# 출력: 2025-05-14
입력과 출력을 활용한 예제
name = input("이름을 입력하세요: ") 
year = int(input("태어난 연도를 입력하세요: ")) 
age = 2025 - year + 1 
print(f"{name}님은 {age}살입니다.")
실행 결과:
이름을 입력하세요: 철수 
태어난 연도를 입력하세요: 1990 
철수님은 36살입니다.
마무리
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사용자와 소통하는 기본 방법인 입력(input) 과 출력(print) 을 배웠습니다. input()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받고, print()를 통해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, 다양한 실습을 시작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.
728x90